| 보도자료 |
| ||
보도일자 | 배포 즉시 보도를 부탁드립니다. | |||
배포일자 | 2025. 8. 6.(수) | |||
자료문의 | 박물관 임상택 관장 ☎ 051) 510-1834 | |||
박물관 강나리 담당 ☎ 051) 510-1838 | ||||
홍보실 주무관 서진주 ☎ 051) 510-1286 / 홍보팀장 제해치 ☎ 051) 510-1266 |
올해 광복 80주년…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기억들 부산대 박물관, 위안부 문제 다룬 특별기획전 동시 개최 - 8.13.~11.29. 문체부 대학박물관 진흥지원 사업 연합전시 및 압화작품전 2건 -「어둠에서 빛으로」展…부산 여성운동가 故 김문숙 이사장 일대기 조명 -「다시, 피어나다」展…위안부 피해자 故 김순악·심달연 할머니 압화 작품전 |
□ 부산대학교 박물관은 올해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과거의 기억을 넘어 미래를 향한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위안부 문제를 다룬 「어둠에서 빛으로」와 「다시, 피어나다」 특별기획전을 함께 마련한다.
□ 부산대학교(총장 최재원) 박물관은 광복 80주년을 맞아, 부산 여성인권운동의 시작이자 위안부 할머니의 동반자인 故 김문숙 (사)정신대문제대책 부산협의회 이사장을 조명한 특별기획전 「어둠에서 빛으로」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故 김순악·심달연 할머니의 압화 원예작품전 「다시, 피어나다」 전시를 오는 13일부터 11월 29일까지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.
○ 부산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특별기획전 「어둠에서 빛으로」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, (사)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주관하여 운영하는 ‘2025 대학박물관 진흥지원사업’ 선정에 따른 연합전시로, 부산 제1호 여성인권운동가인 故 김문숙 이사장의 여성인권운동 자료와 기록을 전시하고, 특히 관부재판의 역사적 의미와 여정을 조명한다.
※ 관부재판(關釜裁判): 일본 시모노세키(下關)와 부산(釜山)을 오가며 진행된 재판으로 일본군 ‘위안부’에 대해 일본재판부가 일본정부의 잘못을 인정한 최초의 판결.
- 영화 <허스토리(2018)>의 모티브가 된 故 김문숙 이사장의 일대기를 통해 아직 끝나지 않은 일본과의 근현대 문제와 부산을 중심으로 이뤄진 여성운동 및 시민사회활동의 역사 등을 특별기획전시와 학술대회, 각종 교육 등으로 시민들에게 알리고 그 의미를 되새겨 보는 계기를 마련할 전망이다.
○ 이와 함께, 부산대 박물관의 문화공간인 나래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故 김순악·심달연 할머니의 압화 작품이 「다시, 피어나다」라는 이름으로 전시된다. 섬세하고도 강인한 작품들은 꽃잎을 눌러 담아 조형물을 넘어 작은 꽃 한 장 한 장이 존엄의 증거이자, 치유와 증언의 언어가 되어 관람객을 맞을 예정이다. 이번 작품전은 2025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됐다.
□ 이번 두 특별전시는 부산대 박물관과 국립창원대 박물관이 공동으로 주관·기획했으며, 부산 민족과여성역사관·한국여성인권진흥원·일본군‘위안부’문제연구소·(사)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·희움 일본군위안부역사관·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·서울기록원 등 다양한 관련 기관들이 전시 자료를 협조했다.
○ 전시 개막 이후에는 부산대 박물관과 국립창원대 박물관이 주관하고 국립창원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지역성 연구사업단 및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가 공동 주최하는 ‘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지역성 연구’ 국제워크숍과 시민강좌도 진행된다.
□ 임상택 부산대 박물관장은 “광복 8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를 맞아, 이번 전시로 부산에서 오랜 기간 여성인권운동에 헌신한 故 김문숙 이사장의 숭고한 삶과 실천을 되새기고자 한다”며 “아직 해결되지 않은 일본군‘위안부’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공감하며 현재로 이어가는 계기가 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